우리나라의 사망 원인 2위로 꼽히는 뇌졸중.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뉜다.
허혈성 뇌졸중이란 뇌경색을 말하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히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생긴다. 출혈성 뇌졸중이란 뇌출혈로, 뇌혈관이 터짐에 따라 생기는 모든 변화를 일컫는다.
뇌졸중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부정맥'과의 연관성이 대두되면서 두 질환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뇌졸중과 부정맥, 이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불규칙하게 뛰는 심장, 뇌 건강까지 위협
심장은 보통 1분에 60~70번씩 박동하며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다. 그런데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못하거나 자극의 전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고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지는데, 이를 '부정맥'이라고 한다.
부정맥은 크게 서맥, 빈맥, 심방세동으로 나뉘며 이중 심방세동은 심방이 정상적으로 뛰지 못하고 미세하게 불규칙적으로 뛰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증상을 뜻한다.
심방세동이 생기면 심방이 약하게 떨리므로 심방 내의 혈액 흐름이 느려지며, 경우에 따라 혈액이 응고돼 그 덩어리가 심방 벽에 붙는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 혈전이 안정화되기 전에 심방 벽에서 떨어져 나가면 온몸에 있는 동맥 혈관 가지 중 하나를 막아 색전증을 일으킨다. 이때 머리로 떠내려갈 경우 뇌혈관을 막게 되고, 그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뇌졸중과 심방세동이 문제가 되는 것은 고령화 때문이다. '고령'이 심방세동의 중요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체 인구의 심방세동 유병률은 1% 미만이지만, 뇌졸중의 20% 가량이 심방세동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 항응고제 치료 시행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마비, 감각 이상, 기억력 저하, 어눌한 말투, 시야장애, 보행장애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 지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은 환자의 경우 혈전용해술로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응급치료를 받게 된다.
입원 후에는 심초음파 및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심방세동 등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이라고 판단될 경우, 환자는 혈액 속 응고 성분을 조절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피를 묽게 하는 항응고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와파린을 비롯한 비타민 K 길항제는 1950년부터 사용된 대표적인 항응고제로, 최근까지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K 길항제는 약물 작용을 방해하거나 출혈 위험성을 증가 시키는 녹색 채소, 인삼, 녹차, 마늘, 생강 등의 음식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른 약물이나 흡연, 음주로 인한 상호작용도 빈번하게 발생해 복용 및 관리가 매우 까다롭다. 특히 와파린요법은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액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최근 와파린 이후 60여년만에 등장한 경구용 항응고제 신약들은 와파린과 같은 비타민 K 길항제가 가진 단점들을 보완했다. 이들은 피를 뽑아 검사하는 일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없고 각종 음식이 약효에 영향을 받지 않아 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또 출혈 위험성이 적으며 약물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도 낮아 와파린 복용상의 제약을 현격하게 줄였다.
반면 신약들은 출혈 부작용이 적지만 와파린처럼 출혈이 있다면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콩팥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 사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투약여부에 대한 결정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정맥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강검진 등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과 부정맥의 주요 증상을 숙지해 두었다가 유사한 증상이 발생했을 시에는 빠른 판단과 행동으로 지체 없이 뇌졸중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
충청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