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을 앓은 지 5년째 접어드는 성모(45)씨는 그동안 동네 병원에 다니며 지속적으로 관리를 받아왔다. 어느 날 피검사 후 결과를 확인하는데 담당 의사가 콩팥의 상태가 나빠졌다며 전문의를 찾아 진단을 받을 것을 권했다. 즉시 큰 병원을 찾아 정밀검사를 받은 결과 투석하기 바로 직전의 상태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콩팥은 기능의 50%를 상실할 때까지 별다른 이상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해서 만성콩팥병을 '침묵의 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김성숙 대전선병원 신장내과장의 도움말로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본다.
◇3개월 이상 신기능 감소, 만성콩팥병 의심해야=사람의 신장은 어른 주먹 정도의 크기에 강낭콩 모양이며 적갈색을 띤다. 콩 모양에 팥 색깔을 가졌다 하여 보통 신장을 콩팥이라고 부른다. 콩팥은 등 쪽 가장 아래 갈비뼈 바로 밑에 척추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하나씩 총 2개가 있으며, 요관을 통해 방광과 연결돼 있다. 콩팥의 길이는 10-14㎝정도이며 한쪽 당 120-190g의 무게를 갖고 있다. 내부에는 '네프론'이라는 단위 조직으로 구성돼있는데, 양쪽에 250여 만개의 네프론이 들어있다. 네프론은 보통 사구체, 토리세관, 콩팥세관고리, 집합관 등으로 구성돼있다. 집합관이 모이는 지점에는 콩팥유두가 형성되며 콩팥유두는 작은 콩팥잔, 큰콩팥잔으로 연결된다.
콩팥을 흔히 소변을 만드는 장기라고만 알고 있으나, 실제로 하는 일은 다양하다. 혈액을 걸러서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설시켜주는 배설기능 외에도 체액량 및 구성성분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조절기능, 혈압을 조절하고 조혈호르몬을 생산하여 적혈구를 만들고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내분비기능을 갖고 있다.
만성콩팥병은 과거에 '만성신부전'으로 불리던 질환으로, 콩팥의 손상으로 정상적인 콩팥의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 감소된 상태를 말한다. 사구체여과율이 3개월 이상 기준 이하로 감소하거나, 3개월 이상 콩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의 증거가 존재하는 경우 만성콩팥병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신기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인 사구체여과율은 사구체에서 여과액이 생성되는 속도를 말하며, 정상인의 경우 분당 90-120㎖ 정도다.
◇3대 원인질환, 당뇨병·고혈압·만성사구체신염=만성콩팥병의 3대 원인질환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이 꼽힌다. 만성콩팥병은 신장 자체로 인한 것이기 보다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같은 전신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것이 70% 가량을 차지한다. 따라서 당뇨병과 고혈압만 잘 관리해도 만성콩팥병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밖는 다낭성 신장병과 같은 콩팥병, 루프스와 같은 전신성자가면역질환, 반복적인 요로감염, 요로폐쇄 등이 있다. 콩팥의 손상으로 인해 기능이 약해지면 노폐물이 몸에 쌓이고 체내 수분, 전해질, 산염기 조절기능에 이상이 오며, 호르몬 생산 장애로 빈혈, 골질환, 고혈압이 생기게 된다. 결국 만성콩팥병 환자는 콩팥 기능 장애로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증상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난다. 이때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면 결국 말기신부전에 이르게 되어 투석이나 신장이식까지 고려해야 한다.
만성콩팥병은 사구체 여과율 감소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정상 혹은 경도로 구분되는 1-2단계에서는 단백뇨 등 신손상의 증거나 경한 신기능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고, 3단계에서 5단계로 갈수록 신기능의 감소가 심화되어 5단계에는 말기신부전 상태에 이른다. 보통 5단계에 이르게 되면 신장은 제대로 기능을 할 수가 없다. 특히 말기신부전 상태는 호흡곤란,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증상이 일어나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 마지막 단계까지 악화되면 환자는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대체 요법을 사용해야만 한다.
◇만성콩팥병 잡으려면 '3조기' 필요=만성콩팥병은 1-2단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조기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심각한 상태가 돼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3단계 이상에서 발견됐을 경우에는 이미 신기능 장애로 인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때이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칠수록 그 결과가 좋지 못하다. 말기신부전에 이르면 생존을 위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투석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콩팥이 더 이상 작동하지 못할 때 이 기능의 일부를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콩팥의 기능 10-15% 정도 남아있을 때 투석을 받게 되는데, 이 상태에 다다르면 메스꺼움, 구토, 부종,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투석을 받아도 합병증 때문에 매년 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12-15%가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근경색증 등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정상인보다 1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검진을 통한 '3조기'가 필요하다. 조기발견, 조기진단, 조기치료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래야만 만성콩팥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출 수 있는 치료가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대전일보